자원식물학

유채의 기원 및 성분

고효율 2023. 9. 3. 00:38

1. 기원 및 내력

유채의 원산지는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부터 시베리아에 걸친 지역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도에서는 기원전 200년, 중국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일본에서는 9세 기경부터 재배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재배 내력은 확실하지는 않으나 산림경제에 '운대'라는 이름으로 유채에 대한 기록이 처음으로 등장하고, 그 후 평지, 씨받기 등으로 쓰여 왔으나 현재는 모두 유채로 통용되고 있다. 유채는 적 종과 흑 종이 있는데, 적종은 AA 게놈을 가진 기본종으로서 과거부터 재배된 종이 고, 기름을 채취하기보다는 이른 봄에 채소로 이용하며 지방에 따라 산 동채, 하루 나, 겨우살이 등으로 불리는 종이다. 학종은 A ACC 게놈을 가진 복 2백채로서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름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유채이다. 또한 캐나다에서 유채의 종실에 함유된 성분을 개량한 '캐놀라(canola)'라는 식물도 유채라고 보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학종의 유채가 기름 생산을 위해 본격적으로 재배된 것은 1960년대에 전라남북도와 경남 및 제주도에 일본 도입종이 보급되면서부터이다.

2. 성분 빛 용도

유채의 종실에는 38~45%의 기름이 함유되어 있다. 기름의 구성요소인 지방산 조성은 성분이 개량되지 않은 재래종 유채에는 에루크산(erucic aicd)이 58.5%로 매우 높게 함유되어 있으나 기름 성분을 개량한 개량종 유채에는 올레산이 66%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다. 에루크산 함량이 높으면 기름의 소화 흡수가 불량하고 다량 흡수 시에는 심장병이나 심장골격 근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유채 기름에서 에루크산 함량을 제거하기 위한 육종가들의 노력 결과로 개량종 유채에는 이 성분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품종을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육성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개량된 품종이 육성되어 농가에 보급되고 있다. 유해 성분인 에루크산 함량의 국제 허용 기준은 5.0% 이하이다.
또한, 유채의 종실에는 단백질이 21.6~24.5% 함유되어 있어 기름을 짜고 난 유채 깻묵은 고단백의 가축 사료로써 이용 가치가 높다. 그러나 성분이 개량되지 않은 재래종 유채의 깻묵에는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라는 유독성뿐이 들어 있다.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이 높은 유채 깻묵을 가축의 사료로 급여할 경우 갑상샘 장애를 일으켜 체중이 증가하지 않고 가금류에서는 산란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글로 코 시 노 레이트 함량의 국제 허용 기준은 유채 깻묵 1g당 3.0mg 이하로 규제하고 있는데 이 성분도 육종가들의 노력으로 허용기준치 이하로 낮아진 품종을 캐나다에서 처음 육성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품종도 0.38mg 이하로 낮게 함유된 품종들이다.

2) 용도

유채의 주 용도는 기름이다. 부산물인 유채 갯물은 가 추사로나 유기질 비료로 이용된다. 또한 식물체는 봄철 단경기 채소용을 비롯하여 개화기의 밀원과 관상용, 축산에서의 청예 사료용 또는 사일리지용으로 쓰이고 있어 용도가 다양하다.
유채 기름은 튀김기름, 샐러드유 등으로 많이 쓰이며, 마가린, 버터, 마요네즈, 제 과용 등 가공용으로도 이용된다. 식용유 외에도 윤활유, 인쇄잉크, 페인트, 화장품, 플라스틱 가소제 등 공업용으로도 이용된다. 근래에 와서는 바이오디젤 (bio diesel) 원료 생산에 가장 유리한 작물로서 인기가 높다.

3. 생산 및 수요

세계적으로 볼 때 유채는 콩 다음으로 중요한 기름작물이며 생산량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주요 생산국은 중국, 인도, 캐나다, 프랑스, 독일로서 이들 국가 가 세계 총생산량의 83% 이상을 생산한다. 우리나라의 유채는 남부 해안지방과 제주도에서 겨울작물로 재배되고 있으나 벼 수확 후 답전작 재배도 가능하므로 1975년에는 2만 6,000ha까지 재배된 적이 있다. 그러나 성숙기가 늦어 벼 이앙에 다소 지장이 있고 정부 수매가도 낮아 현재는 제주도 일부에서 유채꽃을 보기 위한 관광자원으로 재배되고 있을 뿐 종실 생산을 목적으로 한 재배는 거의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 유휴농경지와 하천부지 등의 효율적 이용과 환경보전 차원에서 유채 재배는 앞으로 더욱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작물이며 단위면적 당 기름 생산량도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기름작물 중에서는 가장 높은 작물이다.
유채의 국내 수급 상황을 보면 국내 생산량은 거의 없고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유채 기름인 캐놀라유와 유채 깻묵 수입량도 많으므로 유채의 국내 생산 공급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다고 하겠다.

4. 재해 및 방제

유채의 동사 한계 온도는 -14°C라고 추정된다. 그러므로 겨울철 동해가 우려되는 중북부지방에서는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짚이나 왕겨로 피복해야 한다.
생육 후기에 붕소결핍은 유채나 보리 등에서 불임의 원인이 된다. 유채는 붕소 요구량이 높은 작물이므로 앞그루 작물에 석회를 사용했거나 더욱이 유채에도 석회를 주었을 때는 붕소를 사용해야만 등숙이 잘 된다. 특히 불임 장해가 발생한 토양에는 반드시 사용해야 다 수확할 수 있다. 유채에 대한 붕소 시효 효과를 보면 밭이나 논 모두 2.5kg/10a 사용으로 무 처리에 비하여 수량이 27% 증수되었다.
유채에서 문제 되는 병해충은 균핵병이 가장 무서운 병이며, 간혹 발생하는 병으로는 흰가루병이 있다. 해충은 모판이나 유묘기에 피해를 주는 배추벌레와 개화기 이후의 진딧물이 있다. 그러나 유채는 밭에서 재배하는 경우 균핵병 이외는 다른 작물들과 비교하여 거의 병의 피해가 없이 잘 생육하는 작물이다. 균핵병도 논에서 재배하는 벼 뒷그루 재배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자원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의 성분과 용도  (0) 2023.09.03
차의 성분 및 재배 방법  (2) 2023.09.03
땅콩의 성분 및 재배현황  (0) 2023.09.03
참깨의 성분 및 효능  (2) 2023.09.03
목화의 기원 및 재배관리  (2) 2023.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