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원 및 내력
박하 속 식물에는 여러 개의 종이 있으며 북반구의 온대와 난대 지방에 20여 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1개의 변종(Mentha arversis L. var. piperascens Ma lin.)이 있다. 우리나라에 분포 자생하는 변종은 전국 각처의 개울가와 저지대의 습지에 자 생한다. 그러나 비교적 근래에 우리나라에서 재배한 것은 서양으로부터 도입한 한 명 흑 박하라고도 하는 불가리스종(Mentha piperita L. var. vulgaris Sole.)과 백 박하라고 하는 오피시날리스종(Mentha piperita L. var. oficinalis Sole.)으로 이를 재배하여 외국으로 수출하였는데, 이는 1960년대 이전의 일이고 최근에는 박하를 재배하는 농가가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박하를 약초로 이용한 것은 오래전부터이고, 이때는 주로 재래종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박하뇌, 즉 멘톨을 채취할 목적으로 재배한 것은 1910년경이라고 한다. 그 후 1935~1962년까지는 정부의 적극적인 박하증산시책으로 재배면적이 2,000~5,000ha까지 확대된 때도 있었다. 그러나 가공 기술의 부족과 수출 중단 그리고 식량 증산 시책에 밀려 현재는 생산이 중단되고 국내 수요량은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과거 우리나라의 박하 생산은 1962년에 5,000ha에서 박하유(peppermint oil) 350톤을 생산한 것이 최고로 많은 생산을 했던 기록이다.
2. 성상 및 형태
박하는 다년생 초분으로서 즐기는 네모지고 초장은 60~90cm이며, 줄기에는 분 지가 있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박하는 줄기가 땅속에 묻히면 각 마디에서도 새싹이 나오고 뿌리가 내리며 지하 정이 옆으로 뻗어 번식한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장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다. 잎맥은 결합하는 날개 모양의 맥을 형성하고 뒷면에도 볼록하며 잎자루의 횡단면은 다각형이다. 꽃은 원줄기와 가지의 상단부 잎의 겨드랑이에서 나오며 윤산화서를 형성한다. 화기는 양 성화로 대롱 모양을 이루며 끝이 네 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다.
줄기의 색이 담녹색이고 잔털이 많은 것이 청경 종이고, 줄기의 색이 청자색을 띠고 털이 적은 것이 적경 종이며, 적 경종과 비슷하면서 전체적으로 작고 털이 거의 없는 것이 서양박하이고, 청경 종보다도 녹색이 짙고 왜소하며 껌 향기를 내는 것이 녹 박하이다.
3. 성분 및 용도
박하의 주성분은 멘톨(menthol)이다. 그 밖에 멘톤(Methone), 아이소 멘톤 (isomenthone), 리넨(pine ne), 캠페인은(camphene), 멘 데 논(menthenone), 리모넨 (limonene)과 몇 종의 세스퀴테르페노이드(sesquiterpenoid) 모양의 물질들이 알려져 있다.
박하는 잎과 줄기를 증류하여 박하유(peppermint Al)를 채유하고 이것을 5°C 이하로 냉각하여 박하뇌(menthol)를 결정시킨 후 여기서 다시 박하유를 분리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도 자생하는 아르 벤 시스 종은 박하뇌를 추출하거나 보행 용어로 쓰이므로 멘톨 함량이 높은 것을 양품으로 친다. 페퍼민트(peppermint)를 추출하는 서양박하는 향이 우수한 것이 좋으며, 녹화 방송하는 카본(carvone) 함량을 중시한다.
박하는 한방에서 해열, 청량, 방향성 건위약, 진통제, 구풍약 등으로 쓰이며, 식품 원료로도 널리 쓰인다. 서양박하는 박하뇌 함량이 많아 향료로서 담배 향, 화장품, 비누, 치약, 과자류 등에 수요가 많다. 녹화 방송하는 껌 향료로서 널리 이용되었으나 근래에는 박하 향의 인공 합성으로 그 수요가 줄어들었다. 박하유를 증류하고 남은 찌꺼기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는데 성분은 단백질, 지방, 가용성 무질소 물 등이 많다.
4. 분류 및 품종
박하는 크게 동양 박하와 서양박하로 나눌 수 있으며, 서양박하는 다시 정유의 성질에 따라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페니 로열 민트(pennyroyal mint)로 구별된다. 또 한 동양종은 줄기의 색이나 잎 모양 등으로 적 경종과 청 경종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에는 적 경종, 청 경종, 감미종, 수원 1호가 있다. 수원 1호는 일본에서 도입된 하주 비 품종에서 분리 육성된 품종이다. 근래 농촌 진흥청 작물시험장이 서양종 박하인 피 페리 타와 스피커나 등과 동양종 박하인 적 경종 등을 비교 시험한바 적 경종은 서양종 박하에 비하여 경협의 수량과 함유율이 높다. 피 페리 타는 박하뇌(menthol) 함량이나 향이 우수하여 유질의 차이에 따른 거 겨 차이로 소득 면에서는 동양종 박하보다 피 페리 타가 월등하게 높아 피 페리 타종을 '박하1로'라고 명명하여 보급한 적이 있다.
5. 재배 및 관리
박하는 온난한 기후에 알맞으며, 저온이나 고온 지대에서는 멘톨의 함유량이 적다. 생육 기간에 강우량이 많은 지방에서는 생육은 왕성하지만 유분 함유량이 떨어진다. 일조량이 많으면 멘톨 함유량이 증가하는데 특히 수확기에 가까워질 때 맑은 날씨가 이어지는 것이 좋다. 수확기에 강우가 많아지면 병 발생이 많아지고 잎이 떨어지기 쉬우며, 또 건조가 곤란하게 되어 품질이 떨어진다. 토양은 가리지 않으나 배수가 잘되고 비옥한 참흙 또는 부식질 참흙에 알맞다. 박하는 뿌리가 얕게 내려가는 천근성 작물이므로 토양수분이 적당히 있어야 하며, 고온건조 하면 해를 받기 쉽다. 박하는 산성토양에 약하며 약산성이나 중성토양에서 생육이 좋다.
박하는 종자로 종자번식을 시킬 수도 있으나 뿌리나누기, 모 나누기, 꺾꽂이로 번식하는 것이 보통이다. 뿌리나누기법은 보통 쓰이는 방법으로 3~4월경 박하 뿌리는 파내어 그해에 자란 땅속줄기를 10~15cm의 길이로 잘라서 곧바로 심거나 모판에 종근을 심어 모를 더 키워서 본 밭에 심기도 한다.
박하는 잎과 줄기의 수확이 많아야 하므로 질소비료의 효과가 크지만, 과용하면 채유율이 떨어지고 쓰러지며 병의 발생이 많아져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도 있다.
인산과 칼리는 지하부 및 지상부 발육을 좋게 하고 또한 기름과 박하뇌 양을 증가시키므로 충분히 주어야 한다.
6. 수확 및 조제
박하는 꽃이 피기 시작할 무렵에 유분 함유량이 가장 많기 때문에 수확은 개화 시부터 개화기에 해당하는 시기에 한다. 그러나 남부의 따뜻한 지방에서 첫해에 3회 정도 수확할 경우에는 제1회 수확을 늦게 하면 제2회 수확에 지장이 있으므로 수확을 다소 일찍 한다.
박하는 그늘에서 말리는 것이 좋으며, 건조의 정도는 잎을 손으로 비비면 가로가 될 정도로 완전히 건조해야 한다. 건조 중에 비를 맞으면 수유율이 낮아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확량은 재배 방법이나 작황에 따라 차이가 크다. 건초로 102당 750kg(1회 75kg, 2회 300kg, 3회 375kg) 내외가 된다.
박하의 건초를 증류하여 박하유, 즉 정유를 채취하는 것을 채유라고 한다. 증류 장치의 원리는 증류 통 속에 박하 건초를 넣고 수증기를 통과시키면 건초에 함유된 기름이 휘발성으로 된다. 휘발되는 기름을 냉각기로 보내면 분리기에서 기름과 물이 같이 떨어진다. 박하 기름과 물은 비중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분리기에서 쉽게 박하유를 분리해 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분리한 기름을 정유 또는 원유(1t)라고 한다. 원유를 5°C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면 물에 녹지 않는 백색의 결정이 되는데 이것이 멘톨(menthol)이며 박하뇌라고도 한다.
'자원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황(울금)의 성분 및 이용방법 (3) | 2023.09.02 |
---|---|
배초향의 기원 및 재배 특성 (1) | 2023.09.02 |
호프의 재배 특성 (0) | 2023.09.02 |
치커리의 특성 및 재배 (2) | 2023.09.02 |
자원식물의 보존과 필요성 (2) | 2023.09.02 |